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토마토 재배 수익 시뮬레이션: 면적·작형별 실수익 계산법

by 행복한 사람101 2025. 10. 9.
반응형

1. 서론: ‘수익을 예상하는 농사’가 성공한다

토마토 재배는 다양한 품종, 방식, 시장이 존재하기 때문에 수익 구조를 미리 시뮬레이션하고 들어가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. 재배면적은 동일해도 작형, 판매경로, 품종 선택에 따라 순이익 차이는 2~3배 이상 날 수 있습니다.

본 글에서는 300㎡, 500㎡, 1,000㎡ 기준으로 면적별 수익을 계산하고, 봄·가을 단작형 / 연작형 / 정기배송형 모델을 통해 실제 순이익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구체적으로 시뮬레이션합니다.

2. 기본 수익 구성 요소

① 수익 계산 공식

순이익 = 총수익 - (고정비 + 변동비)

② 주요 수익/비용 요소

  • 총수익: 수확량(kg) × 단가(원)
  • 고정비: 임대료, 설비 감가, 냉난방, 인건비(고정)
  • 변동비: 종자, 비료, 약제, 포장, 택배, 외주비

③ 단가 구간별 유통 예시

  • 도매: 1,500~2,000원/kg
  • 마트 납품: 2,200~3,000원/kg
  • 정기배송·직거래: 4,000~7,000원/kg

3. 300㎡ 기준 단작형 수익 시뮬레이션

기본 설정

  • 재배 작기: 봄 단작형 (3~7월)
  • 품종: TY핑크 (중과형)
  • 수확량: 12kg/3.3㎡ → 총 약 1,100kg
  • 판매단가: 도매 기준 1,800원/kg

수익 계산

  • 총수익: 1,100kg × 1,800원 = 1,980,000원
  • 고정비: 임대 30만, 냉방 10만, 감가상각 20만 = 60만 원
  • 변동비: 자재비 25만, 인건비 15만 = 40만 원
  • 순이익: 198만 - (60+40) = 98만 원

✅ 도매 단작형의 경우, 면적이 작을수록 수익률은 낮지만 리스크도 작습니다.

4. 500㎡ 기준 연작형 수익 시뮬레이션

기본 설정

  • 작기: 봄+가을 2작형
  • 품종: 브릭스나인(봄), 레드벨(가을)
  • 수확량: 2,000kg/년
  • 판매단가: 마트 납품 2,500원/kg

수익 계산

  • 총수익: 2,000kg × 2,500원 = 5,000,000원
  • 고정비: 150만 원 (설비, 에너지, 감가 등)
  • 변동비: 100만 원 (양액, 종자, 외주, 포장 등)
  • 순이익: 500만 - (150+100) = 250만 원

✅ 연 2작형 구조는 노동력 분산 + 수익 안정화에 유리합니다.

5. 1,000㎡ 스마트팜 정기배송형 수익 분석

기본 설정

  • 작형: 연작형 (저온~고온 작형 포함)
  • 품종: 체리믹스, 오렌지젬, 브릭스나인
  • 수확량: 연간 4,000kg
  • 판매단가: 정기배송 평균 6,000원/kg
  • 고정고객 기반: 주간 80건 × 30주

수익 계산

  • 총수익: 4,000kg × 6,000원 = 24,000,000원
  • 고정비: 500만 원 (설비 감가, 인건비, 유지관리)
  • 변동비: 400만 원 (포장, 택배, 외주 등 포함)
  • 순이익: 2,400만 - (500+400) = 1,500만 원

📦 정기배송 모델브랜드화 + 고객 충성도가 수익률을 좌우합니다.

6. 수익률 향상을 위한 비용 관리 전략

① 고정비 줄이기

  • 감가상각을 5년 이상으로 장기 분산
  • 온실 냉난방은 자동화 설비로 에너지 절감
  • 인건비 절감 → 자동관수, 포장작업대 활용

② 변동비 줄이기

  • 자재 공동구매 또는 농협 조합 이용
  • 외주 작업은 피크 시기만 단기 활용
  • 자가 육묘 및 퇴비 순환 사용

③ 판매단가 올리기

  • 브랜드화 → SNS + 후기 콘텐츠 강화
  • 포장 개선 → 프리미엄 이미지 부여
  • 정기배송 고객 유도 → 단가+반복성 확보

7. 연간 작형 수익 설계 예시

작기 품종 판매 방식 예상 수익
봄작기 브릭스나인 정기배송 900만 원
여름작기 레드벨 도매 납품 300만 원
가을작기 체리믹스 프리미엄 소포장 700만 원
연간 혼합 복합 1,900만 원

☑️ 작형을 분산하고 유통 방식을 다변화하면 위험은 낮고 수익은 안정적입니다.

8. 결론: 수익은 ‘예상’하는 순간부터 만들어진다

많은 농가는 수확 이후 수익을 계산합니다. 하지만 재배를 시작하기 전, 작형과 판매모델을 기반으로 시뮬레이션을 하면 불필요한 비용을 줄이고, 효율적으로 매출을 높일 수 있습니다.

본문에서 제시한 면적·작형·유통별 수익 시뮬레이션을 참고하여 귀하의 농장 규모와 목표에 맞는 수익 설계를 시작해보세요.

다음 글에서는 “1인 스마트팜 구축 가이드: 500㎡ 고수익 운영 모델”을 통해 적은 인력, 적정 규모로 연 2,000만 원 이상의 실현 가능한 운영 전략을 제시합니다.

반응형